본문 바로가기
빵이 게임뉴스

'총 든 소울'류 게임이 아니라 한계를 뛰어넘은, 렘넌트 2 리뷰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3. 8. 2.

안녕하세요!

온라인 게임 전문 블로거 찐빵이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총 든 소울'류 게임이 아니라 한계를 뛰어넘은, 렘넌트 2 리뷰 정보를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렘넌트 : 프롬 디 애쉬(Remnant : From the Ashes)' 즉 렘넌트 1을 일컬어 총든 소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렘넌트 2가 출시되었다고 할 때 크게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요. 그러나 이번 렘넌트 2에서는 전작의 문제점을 수정하고 전투 난이도를 조정했으며, 아이템 획득 방법까지 다르게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훌륭한 후속작으로 생각해도 될 것 같았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렘넌트 2가 어떤 게임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발전된 연출과 여전히 부족한 스토리, 끔찍한 발번역

전작 렘넌트 1은 스토리 설명이 매우 빈약한 편이었는데요. DLC까지 구매하지 않으면 지구지역 스토리를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렘넌트 2에서는 스토리텔링이 발전했습니다. 컷신과 텍스트가 많아졌고, 등장인물도 늘어나 세계관을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해 줍니다. 하지만 스토리는 여전히 부실한 편이며, 메인 스토리 보스가 둘인 것이 큰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로숨 지역 메인 보스는 참칭왕과 나이트위버인데, 참칭왕과 관련된 로숨 서브퀘스트가 많아 나이트 위버 스토리가 부실했습니다. 

이것들보다 더 심각한 것은 번역 품질입니다. 렘넌트 2의 번역은 끔찍하며 폰트 가독성이 매우 나쁘고 내용까지 문제가 많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게임 진행에까지 치명적인 문제를 초래하는 번역 오류도 존재하는데요. 로숨 병원 자물쇠 퍼즐이 에시로, 분명 비밀번호를 맞게 입력했는데 금고가 열리지 않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힌트인 노래와 번역 어순이 완전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장비나 스킬 번역도 이상한데요. '지장'이라는 표현이 뭔가 찾아보니 장비 무게를 뜻하는 것이며, '개조체'는 장비에 부착하는 특수 공격 모드를 의미하며, '장비 개조체 힘 생성'은 개조체 사용에 필요한 에너지가 회복되는 양을 뜻합니다. 같은 스킬 설명도 통일되어있지 않아 탐험가 스킬의 대미지 특전과 유적 특전에 쓰여있는 스킬명이 다른데요. 기상천외한 보스 이름이나 지역 이름과 설명이 바뀌어 맵을 뚫는 글자는 덤이고 오탈자도 있으니 정말 최악입니다.

렘넌트 2가 보여준 독특한 전투 시스템과 고난도 보스전

렘넌트 시리즈를 두고 흔히 '총 든 소울'이라 부릅니다. 강력한 보스, 특색 있는 무기, 구르기, 쓰는데 시간이 걸리는 회복약 등이 이런 정체성을 부여하는데요. 하지만 게임의 많은 요소들이 단순히 '총 든 소울'이라 요약하기에는 매우 잘 짜여있고, 수많은 개발 고민이 담겨있어 하나의 장르를 개척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 총 사용부터 시스템적 고민이 들어갔습니다. 이는 전작에도 있던 부분으로 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준해야 하는데 조준 시 시야가 좁아지기 때문에 주벽 적을 살피기 어려워집니다. 이는 원거리라는 압도적 이점을 제어한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처럼 독특한 게임 설계를 통해 만들어진 전투는 매우 재미있었습니다. 다수의 약한 적들은 위치만 파악하면 쉽게 처리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탄약을 소모해야 하며, 간혹 등장하는 엘리트 몬스터는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습니다. 엘리트 몬스터마다 약점이 다 다르며 간혹 공격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보스전도 재미있고 스릴 있는데요. 엘리트 몬스터의 강화형인 보스는 새로운 패턴이 추가되었으며 월드 보스나 주요 보스는 공략의 재미가 확실했습니다. 특히 최종 보스는 연출과 패턴이 특이한데 두 번째 페이즈부터는 '오류'라는 콘셉트에 맞게 정신없고 복잡한 공격 방식을 보여줍니다.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저희는 아레스 시점 관리부터 최적화까지! 유용한 설정들 모음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정리해 본 정보가 도움이 됐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더 꾸준히 포스팅해서 정보를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늘 읽은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왼쪽 하단의 하트 공감을 꾹 눌러 주세요!

감사합니다.